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코스닥

카메라모듈전문업체 나무가 종목분석 목표주가 3분기실적/4분기실적

by 노블리스오블리제꽃돼지 2022. 12. 3.
728x90
반응형

카메라모듈전문업체 나무가 종목분석 및 주가 분석

 

1. 카메라 모듈 제조 업체

 

주요 제품군은 스마트폰용 카메라 모듈, 3D 센싱 모듈,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OIS 액츄에이 터 등이다.

 

2014년부터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카메라 모듈을 납품했으며

 

2015년 3D 센싱 모듈 양 산 및 2017년 SONY ToF 3D 센싱 모듈 양산으로 기술 우위 확보하고 있다!

 

동사의 최대주주는 드림 텍으로 2022년 9월말 기준 드림텍 보유 지분율은 31.6% 이다.

 

 

 

 

카메라모듈전문업체 나무가 종목분석 목표주가

 

 

 

 

3D 센싱 모듈 적용 어플리케이션 확대 중

 

3D 깊이 인식 기술인 Stereo, SL, ToF 방식 모두 보유하고 있는 국내 유일 카메라 모듈 업체로

 

스마트폰에서 로봇청소기, 자율주행차, VR기기 등 적용 어플리케이션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동 사는 2021년부터 글로벌 자율주행 업체(미주)로 ToF 인캐빈(in-cabin) 카메라 시제품을 공급 하고 있으며

 

실적 기여도는 작으나 전장용 어플리케이션 다각화 측면에서 긍정적 판단!

 

나무가는 2022년 연초부터 글로벌 IT업체와 XR기기에 적용되는 ToF 카메라 모듈을 공동개 발 중입니다.

 

ToF 카메라 모듈은 송신부(광원) 및 수신부(센서) 2개의 모듈을 조립해 생산하고 있고,

 

ToF 모듈 단가는 일반 RGB 카메라 보다 높아 향후 양산 물량 공급 본격화 시

 

기존 스마트폰향 카메라 모듈 이상의 수익성 기대!

 

 

 

 

 

스마트폰향 고화소 카메라 공급 확대 중, 2022F OPM 6.6% 전망!

 

2020년 플래그십 카메라 모듈 이원화 공급을 시작으로 고객사향 고화소 카메라 납품 확대 중.

 

스마트폰향 평균 화소는 과거 1,200메가에서 최근 3,000메가 이상으로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며

 

2022년 2분기 중에는 1억화소 AF카메라 수주 성공했음.

 

2022년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매 출액 중 플래그십향 비중은 약 3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화소 카메라 공급 확대에 따 른 ASP 개선과 함께 수율 안정화 효과가 더해지며

 

동사의 영업이익률은 2020Y -0.4% => 2021Y +4.6% → 2022F 6.6% 개선세 지속될 전망입니다.

 

 

[출처] 기업ir협의회

728x90

댓글